“전국에 이미 70곳”…200개 시민‧역사단체, 6·25 관련 ‘김사의 정원’ 조성 서울시 비판

최혜진 기자 / 기사승인 : 2025-09-18 04:24:44
  • -
  • +
  • 인쇄
“어느 나라가 문화‧역사 상징 장소에 외국 군대에 감사 시설 설치하나”
“광화문 광장은 오세훈 시장의 치적 쌓기용 사유물이 아냐”…서업 철회 촉구

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서울시, 광화문 광장 감사의 정원조성 둘러싸고 갈등 격화입니다. 서울시가 광화문광장에 조성 중인 감사의 정원사업을 둘러싼 논란을 취재했습니다. <편집자 주>

 

  ▲민족문제연구소 등 시민‧역사단체 관계자들이 지난 16일 오세훈 시장의 ‘감사의 정원’ 조성사업 철회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민족문제연구소 제공
[뉴스밸런스 = 최혜진 기자] 서울시가 6·25전쟁 참전국에 대한 감사의 의미를 담아 광화문 광장에 조성 중인 상징 공간 ‘감사의 정원’에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이 오세훈 서울시장에게 사업 철회를 요구했다.


17일 민족문제연구소에 따르면 200여개 시민‧역사단체들은 전날 오후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광화문 광장은 시장의 치적쌓기용 사유물이 아니다”면서 “시민들이 힘을 내어 몰역사적인 조형물 조성 사업을 기필코 막아내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성명에서 “광화문광장은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 동상에서 보듯 조선 500년의 상징 공간이자, 오늘날에는 4·19혁명을 비롯해 촛불혁명, 빛의 혁명 등 세계가 부러워하는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공간”이라며 “한마디로 광화문광장은 우리의 문화와 자주독립 그리고 민주주의와 평화를 상징하는 장소”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세훈 시장은 재임 내내 서울 한복판에 자신의 흔적 남기기에 집착하고 있다. 광화문광장이 행정 실무상 서울시가 관리기관이라고 해도 서울시장이 독단적으로 역사성과 상징성을 좌지우지해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더욱이 ‘감사의 정원’은 세종대왕 동상과 세종문화회관 그리고 조선어학회 한말글 수호기념탑의 한가운데에 들어선다”면서 “아무리 6.25 참전국에 대한 감사의 취지라고는 하지만 이곳에 ‘감사의 정원’을 세우는 것은 우리의 역사와 문화를 훼손하고 스스로 무지를 드러내는 행위”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어느 나라가 자국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하는 장소에 외국 군대에 감사하는 시설을 둔단 말인가”라고 꼬집었다.

이들은 “오히려 프랑스는 파리 개선문 아래 ‘충혼의 불꽃’을, 러시아는 모스크바에 ‘영원의 불꽃’을 조성해 자국의 무명용사를 기리면서 외국의 국빈들이 반드시 방문토록 하고 있다”면서 “그렇다면 광화문광장에는 무명 독립투사들을 기리는 조형물이 있어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들은 “6.25 참전국을 기리는 시설은 전국에 산재해 있다.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지인 유엔기념공원과 유엔평화기념관(부산), 대지 3만5,000 평 규모의 전쟁기념관(서울)을 비롯해 전국적으로 70곳이 넘는다”면서 “우리는 6.25 참전국을 기억하는 사업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오세훈 시장의 치적 쌓기용으로 광화문광장을 사유화하는 행태를 반대한다”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내란을 극복하고 맞이하는 광복 80주년인 올해, 오세훈 시장은 21세기 모화관과 영은문을 세우겠다는 사대주의 발상에서 나온 ‘감사의 정원’ 조성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