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민주당의 공업축제 비판, 시민 자긍심 훼손 유감”

김성호 기자 / 기사승인 : 2025-10-24 04:50:28
  • -
  • +
  • 인쇄
“시민·기업·단체 자발적 참여, 강제 동원 없어…폄훼 말라”
“퍼레이드 자발적 참여…·불꽃놀이 순회 개최는 지역균형 발전 목적” 반박

뉴스밸런스는 우리 사회에서 첨예한 갈등을 빚고 있거나 화제가 되는 이슈 및 정책을 대상으로 찬성론과 반대론이 한판 승부를 벌이는 논쟁터입니다. 양측 주장과 의견을 최대한 공정하고 충실히 전달함으로써 독자들의 정확한 판단과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입니다.

 

이번 주제는 울산시 vs 민주당, ‘울산공업축제놓고 날선 공방입니다. 울산시가 지난 16~19일 개최한 ‘2025 울산공업축제를 둘러싼 민주당 울산시당과 울산시 양측의 공방을 정리했습니다. <편집자 주>

 

  ▲‘2025 울산공업축제’’ 개막식이 지난 16일 태화강 둔치에서 펼쳐지고 있다. /울산시 홈페이지
[뉴스밸런스 = 김성호 기자] 울산시가 최근 개최한 ‘2025 울산공업축제’를 혹평한 더불어민주당 울산시당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하고 “축제 취지를 폄훼하고 시민의 자긍심을 훼손하고 있다”며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23일 울산시와 일부 매체에 따르면 임현철 울산시 대변인은 22일 성명을 내고 “최근 일부 정당에서 울산공업축제를 폄하하고 축제에 참여한 울산 시민의 자긍심을 훼손한 점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울산공업축제는 울산 시민의 자긍심을 높이는, 시민 모두의 축제다. 정치적 이해관계와 편향된 시각에 갇혀 축제의 의미를 왜곡하고 폄훼하는 것은 지역사회의 소통과 발전을 가로막는 일이다”고 밝혔다.

임 대변인은 “이 축제는 산업수도 울산의 주역인 시민과 기업, 근로자가 하나 되는 축제로 2023년 부활했다”면서 “올해 3회째를 맞아 울산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담은 축제로 기획됐고, 산업을 거쳐 인공지능(AI) 수도로 나아가는 울산을 보여주는 공연과 프로그램이 진행됐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시민과 기업, 노사의 자발적 참여 속에 성공적으로 마무리된 축제에 대한 ‘예산 낭비의 보여주기식 행사’라는 지적은 시민의 정성과 노력을 철저히 외면한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임 대변인은 민주당 측의 지적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먼저 ‘예산 낭비의 보여주기식 행사’라는 지적에 대해 “축제에 참여한 울산 시민의 정성과 노력, 애향심을 철저히 외면한 발언”이라고 반박하고, “거리 퍼레이드 시 공무원과 시민 강제 동원' 관련 주장에 대해서는 ”울산공업축제 핵심 콘텐츠인 거리 퍼레이드에는 안전요원 배치가 필수적이고, 시민안전을 위한 공무원의 책무다. 이를 '공무원 행사 동원'으로 표현하는 것은 적절치 않으며 다중 운집 행사 질서유지에 공무원이 참여하지 않는 사례가 있는지 되묻고 싶다“고 쏘아붙였다.

‘불꽃축제 장소 변경은 정치적 의도’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불꽃축제 장소 선정은 정치적 결정이 아닌,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한 약속이었음을 명확히 밝혔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른 시도 대비 축제 효율성이 부족하다’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축제의 영향력과 경제성 등을 타 시도와 견주기는 어렵다. 시민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앞으로 성장 가능성을 중심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부탁드린다“고 전했다.

임 대변인은 정치권의 ‘값비싼 경품 제공’ 지적에 대해 ”올해 울산공업축제의 개막식 경품은 시가 준비한 것이 아니다. 국내 한 대기업의 노사가 함께 기증한 것이다“며 ”시민의 환심을 사기 위한 경품 제공이 아니라, 지역과 함께 성장한 기업이 지역사회에 이익을 환원하는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울산공업축제는 대한민국 최초 특정공업지구 지정 및 공업탑 건립을 기념하기 위해 1967년부터 1988년까지 매년 열린 과거 울산의 대표 축제다. 민선 8기 김두겸 울산시장은 취임 때부터 공업축제 개최를 공약으로 내세웠고, 그 결과 35년 만에 부활한 축제가 2023년부터 열리고 있다.

[저작권자ⓒ 뉴스밸런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